바로가기 메뉴
지하연속벽 공법
지하연속벽 공법
홈 > 사업분야 > 기초사업 > 지하연속벽 공법
지하연속벽 공법
- 지하연속벽 공법개요
- 굴착면의 붕괴와 지하수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폭의 TRENCH에 안정액을 공급하면서 원하는 깊이까지 TRENCH를 굴착한 후 지중에 무근 또는 철근 Concrete의 벽체를 조성하고 이러한 각각의 PANEL을 연속적인 벽체로 형성시키는 공법이다.
본 공법은 개발초기에는 단순 차수벽이나 가설토류벽으로 사용되었으나 기술의 진보, 시공방법 및 장비의 발달로 최근에는 토지 이용율의 극대화가 가능하고 도심지 건물 밀집지역에서 저진동, 저소음으로 강성이 큰 안전한 벽체를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도심지 지하구조물의 영구벽체 시공 공법으로 각광 받고 있다.
- 지하연속벽의 장단점
-
- 1. 장점
-
- 시공시 잡음, 진동이 적다.
- 기존의 토류공법에 비해 초심도(120m)까지 시공
- 저진동, 저소음의 기계화 시공으로 도심지 밀집지역 및 기존 구조물 근접지역에서도 원활한 공사수행
- 벽체의 강성이 크고 완벽한 차수성이 보장되므로 굴착에 따른 지층이완 및 지반침하 방지
- 수직도가 양호하여 지하구조물의 영구벽체 또는 구조물의 기초로 이용가능
- 본 구조물 옹벽으로 이용 가능함으로 지하공간 이용 극대화
- 근입 및 수밀성이 좋아 지하수 과다, 전석층, 연약지반 등의 악조건에도 비교적 안전한 공법임
- 2. 단점
-
- 지질 상태 파악과 지질에 따른 장비, 대책 보완
- 굴착 중 옹벽의 붕괴(지하수 등 영향)
- 구조상 연결부위의 문제점
- 상당한 기술 축적이 요구됨
- 수직도가 양호하여 지하구조물의 영구벽체 또는 구조물의 기초로 이용가능
- 공사용 특수장비 및 플랜트 시설이 크고 복잡하여 일정규모(약400평) 이상의 대지에 적합
- 공사비 상대적 고가임(공사비 단순비교시)
하단정보